티스토리 뷰

반응형

“아집(我執)”과 “고집(固執)”은 모두 자기 생각이나 입장을 쉽게 바꾸지 않는 태도를 가리키지만,
의미의 깊이와 뉘앙스, 강조점에서 차이가 있습니다.

아래에 정확히 비교해 드리겠습니다.

 


✅ 1. 아집 (我執)

● 뜻

  • 자기 생각이나 의견만이 옳다고 믿고 남의 말은 받아들이지 않는 태도
  • “나(我)”만 고집이기적이고 폐쇄적인 자기중심성

● 특징

  • 비논리적이거나 비합리적인 경우가 많음
  • 주로 자아 중심적 사고, 독선, 편협함의 부정적 의미
  • 타인의 입장, 객관적 사실을 무시하고 자신의 관점을 절대화

● 예시

  • “그는 아집에 사로잡혀 어떤 충고도 듣지 않았다.”
  • “지도자의 아집이 공동체를 위태롭게 했다.”

✅ 2. 고집 (固執)

● 뜻

  • 자신의 의견이나 방식을 바꾸지 않고 굳게 버티는 태도
  • 반드시 부정적인 것만은 아니며, 신념이나 일관성으로 평가되기도 함

● 특징

  • 의지나 신념에 대한 집요함으로도 해석 가능
  • 부정적으로는 융통성 부족, 완고함
  • 긍정적으로는 끈기, 신념 있는 태도

● 예시

  • “그는 원칙을 끝까지 지키는 고집이 있다.”
  • “고집이 너무 세서 협의가 안 된다.”

✅ 비교 요약표

구분 아집 (我執) 고집 (固執)
핵심 의미 자기 생각만 옳다고 믿는 자기중심적 태도 자기 생각이나 방식에 끝까지 매달리는 태도
강조점 이기적, 편협, 타인의 입장 무시 일관성 또는 완고함, 긍정/부정 모두 가능
객관성 낮음 (비합리적 고집) 경우에 따라 타당할 수 있음
사용 예시 “그 사람 아집 때문에 조직이 분열됐다.” “그의 고집 덕분에 작품이 완성됐다.”

✅ 정리

  • 아집:
    자기만 옳다는 독선적이고 폐쇄적인 고집 (비판적 어조 강함)
  • 고집:
    → 단순히 의견을 쉽게 굽히지 않음. 긍정도 가능 (예: 신념, 원칙)

 

 

잔망, 잔망스럽다 뜻

“잔망”과 “잔망스럽다”는 사람의 태도나 행동을 묘사할 때 쓰이는 표현으로,가볍고 귀엽지만 약간 얄미운 듯한 행동을 나타내는 말입니다. ✅ 1. 잔망● 기본 뜻사전에 등록된 표준어는 “

jung-suk.tistory.com

 

 

가족, 식구의 차이

“가족”과 “식구”는 모두 가깝게 함께 살아가는 사람들을 가리키는 말이지만,의미의 범위와 강조하는 개념에 있어서 차이가 있습니다. ✅ 1. 가족 (家族)● 뜻혈연, 혼인, 입양 등으로 이루어

jung-suk.tistory.com

 

 

“독선”, “완고”, “융통성 없음”은 모두
사람의 성격이나 태도를 표현할 때 사용되며, 고집과 유사하지만 의미의 초점과 부정성의 정도가 서로 다릅니다.

 

 

✅ 1. 독선(獨善)

● 뜻

  • 자기 혼자만 옳다고 믿고 남의 의견을 무시하는 태도
  • 독단적이고 자기중심적인 사고방식”
  • 주로 지도자, 권위자, 지식인 등에게 비판적으로 사용

● 특징

  • 자신의 판단을 절대화하고, 타인의 의견이나 비판을 무시
  • 도덕적 우월감이나 지적 자만이 동반되는 경우도 많음

● 예시

  • “그는 늘 독선적인 결정을 내려 갈등을 일으킨다.”
  • “협업보다 독선이 강한 리더는 조직을 위태롭게 한다.”

✅ 2. 완고(頑固)

● 뜻

  • 태도나 생각이 매우 굳고 고쳐지지 않는 상태
  • 한 번 정한 생각을 쉽게 바꾸지 않는 성격을 말함

● 특징

  • 변화나 타협을 거부함
  • 고집과 매우 비슷하지만, 성격적 성향에 초점
  • 노인, 보수적 인물 등에 자주 사용

● 예시

  • “그는 너무 완고해서 새로운 제안을 절대 안 받아들인다.”
  • “완고한 아버지를 설득하기란 쉽지 않다.”

✅ 3. 융통성 없음

● 뜻

  • 상황에 따라 유연하게 대처하지 못하는 태도
  • 규칙, 원칙, 고정관념 등에 집착해 부드럽게 조정하지 못함

● 특징

  • 정해진 방식 외에는 받아들이지 않음
  • 때로는 정직함이나 원칙주의와 혼동되기도 하지만,
    협조성과 현실 감각이 부족하다는 비판이 더 큼

● 예시

  • “그는 융통성이 없어서 사람들과 어울리기 힘들다.”
  • “지나친 원칙주의는 융통성 없는 태도로 보일 수 있다.”

✅ 비교 요약표

구분 뜻 강조점 뉘앙스

독선 자기만 옳다고 믿고 남 의견 무시 자기중심, 배타적 태도 강한 부정
완고 성격이나 생각이 굳어 바뀌지 않음 변화 거부, 완강한 고집 중간 부정
융통성 없음 상황 변화에 유연하게 대처 못함 고정관념, 원칙 집착 상대적 부정

✅ 유사 표현 비교

독선 독단, 아집, 자기중심주의
완고 고집불통, 완강, 변화 거부
융통성 없음 융화력 부족, 고정관념, 융통성 제로

✅ 결론

  • 독선 → “내 말만 맞다”는 태도 → 지적·권위적 비판
  • 완고 → “성격이 굳세다, 잘 안 바뀐다” → 고집스러운 성향
  • 융통성 없음 → “상황을 유연하게 못 봄” → 비효율적/답답한 스타일

 

반응형

'국어 역사 수행평가' 카테고리의 다른 글

비리 비위 차이  (0) 2025.05.15
당나귀=나귀, 노새 차이  (0) 2025.05.15
잔망, 잔망스럽다 뜻  (0) 2025.05.15
가족, 식구의 차이  (0) 2025.05.15
카쉐어링 뜻  (0) 2025.05.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