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국어 역사 수행평가

잘되다 띄어쓰기

교육전문가집단 2025. 5. 4. 03:35
반응형

‘잘되다’는 상황에 따라 붙여 쓰거나 띄어 쓸 수 있으며,
의미와 문법적 구조에 따라 붙임/띄어씀이 달라집니다.

 


✅ 1. 붙여 쓰는 경우하나의 단어(동사)로 굳어진 경우

  • 의미: 좋은 결과가 나오다, 순조롭게 진행되다
  • 이때 ‘잘되다’는 하나의 동사로 취급되어 붙여 씁니다.

📌 예문

  • 일이 잘되길 바랍니다.
  • 시험이 잘되었다고 들었어요.
  • 두 사람은 사귀다가 결국 잘되었다.

✅ 2. 띄어 쓰는 경우‘잘 + 되다’가 각각 부사 + 동사로 쓰이는 경우

  • 의미: ‘잘’은 정도를 나타내는 부사, ‘되다’는 본래 동사
  • 문맥상 둘이 분리되어 각각 기능할 때는 띄어 씀이 가능하지만,
    일반적으로는 붙여 쓰는 게 자연스럽고 표준적인 표현입니다.

📌 예문

  • 밥이 잘 되다니 다행이야. (조리 상태 등 강조할 때)
  • 기계가 잘 되다니 다행이군요. (정상 작동 강조)

✅ 요약 정리

쓰임 형태 예시 설명
붙여쓰기 일이 잘되었다 하나의 동사로 굳어진 형태 (표준적)
띄어쓰기 기계가 잘 되었다 부사 + 동사로 나뉘는 경우 가능

일반적으로는 "잘되다"를 붙여 쓰는 것이 원칙적이며 자연스럽습니다.
특별히 의미를 분리하고 싶을 때만 띄어 쓰기를 고려하세요.

 

 

 

알다시피 알다싶이 중 바른 표현은

올바른 표현은 ‘알다시피’입니다.‘알다싶이’는 잘못된 표기입니다. ✅ ‘알다시피’의 의미뜻: 말하는 내용이 상대방도 이미 알고 있을 것이라는 전제 하에 사용하는 표현구문 구조:동사 +

jung-suk.tistory.com

 

 

작렬 작열 차이

‘작렬(炸裂)’과 ‘작열(灼熱)’은 발음이 비슷하지만, 뜻과 쓰임새가 완전히 다릅니다.아래에 두 단어의 차이를 명확히 정리해 드릴게요. ✅ 작렬(炸裂) vs 작열(灼熱) 차이 구분 작렬(炸裂) 작

jung-suk.tistory.com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