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반응형

겉과 속이 다른 사람”이나 “말과 행동이 다른 경우”를 표현하는 사자성어로는 다음과 같은 것들이 있습니다.
그중에서도 대표적인 것이 바로 양두구육(羊頭狗肉)입니다.

 


✅ 1. 양두구육(羊頭狗肉, 양 머리를 걸고 개고기를 판다)

:
겉은 그럴듯하나 속은 전혀 다름.
겉과 속이 다르거나 말과 행동이 다른 위선적인 태도를 비유합니다.

 

유래:
중국 고대 시장에서 양고기를 판다고 걸어놓고 실제로는 개고기를 파는 행태에서 비롯된 말입니다.
즉, 겉으로는 좋은 것처럼 보이지만, 실제 내용은 형편없거나 속이는 경우를 말합니다.

 

예문:

정치인의 공약이 늘 양두구육처럼 느껴진다.
그 회사는 고급 이미지를 내세우지만 품질은 양두구육이다.


✅ 2. 표리부동(表裏不同)

:
겉과 속이 같지 않다.
마음속 생각과 겉으로 드러나는 태도가 다른 사람을 비판할 때 사용합니다.

 

예문:

그는 표리부동한 인물이라 믿기 어렵다.
사람을 볼 땐 겉모습이 아니라 표리부동인지 아닌지를 봐야 한다.


✅ 3. 면종복배(面從腹背)

:
겉으로는 복종하는 척하면서 속으로는 딴마음을 품음
→ 상사나 윗사람에게 겉과 다르게 속으로 반항하거나 불순한 태도를 가진 경우

 

예문:

그는 상사에게는 늘 웃지만 뒤에선 욕을 해, 완전 면종복배야.


✅ 요약 정리표

양두구육 겉과 속이 전혀 다름 위선적이고 기만적인 태도
표리부동 생각과 행동이 다름 내면과 외면이 다름 (신뢰 부족)
면종복배 겉으로 복종, 속으로는 딴생각 상사·권력자에게 보이는 이중 태도

 

 

 

태산북두(泰山北斗)

✅ 뜻풀이태산(泰山): 중국 오악 중 으뜸인 산북두(北斗): 북두칠성이 두 단어가 결합된 "태산과 북두칠성처럼 높고 빛나는 존재"라는 뜻의 사자성어입니다.주로 어떤 분야에서 가장 존경받고 영

jung-suk.tistory.com

 

 

조강지처 뜻 유례 예문

조강지처(糟糠之妻) ✅ 뜻풀이조(糟): 술찌꺼기강(糠): 쌀겨조강지처는 “술지게미와 쌀겨로 끼니를 이어가던 시절을 함께한 아내”라는 뜻입니다.곧, 가난하고 어려웠던 시절을 함께 견뎌낸 아

jung-suk.tistory.com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