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반응형

 

✅ 뜻

쥐가 머리를 내밀고 양쪽을 망설인다는 뜻으로,
어떻게 할지 결정을 못 하고 이리저리 망설이는 상태를 의미합니다.
우유부단하거나 우물쭈물하며 결정을 내리지 못하는 태도를 비판할 때 자주 쓰입니다.

 

 

✅ 한자 구성

  • 首(머리 수)
  • 鼠(쥐 서)
  • 兩(두 량)
  • 端(끝 단)

“쥐가 머리를 내밀고 두 방향을 살핀다”
→ 결정하지 못하고 양쪽을 저울질하거나 망설이는 모습

 

 

✅ 유래

중국 전한(前漢) 시대 『한서(漢書) 「장이열전(張耳列傳)」에 나오는 고사에서 유래합니다.
정치적 상황에서 어느 편에도 서지 못하고 망설이며 기회를 엿보는 자들을 비판하는 말로 쓰였습니다.

 

首鼠而兩端이니, 일이 될 리가 없다.”

→ "머뭇거리는 태도로는 일을 성취할 수 없다."

 

 

✅ 사용 예시

  • 그렇게 수서양단하다가 좋은 기회를 다 놓쳤다.
  • 리더라면 수서양단하지 말고 결단을 내려야 한다.
  • 회사 인수 문제를 두고 경영진이 수서양단하고 있다.

 

 

✅ 유사어 / 비슷한 표현

  • 우유부단(優柔不斷): 부드럽기만 하고 결단력이 없음
  • 좌고우면(左顧右眄): 좌우를 살핀다 → 이것저것 눈치만 보며 결정을 못 함
  • 망설임, 결정 장애: 현대적 표현
  • 주저하다, 갈팡질팡하다: 실용적 표현

 

 

마부작침(磨斧作針) 뜻과 유래 사용예시 유사어

✅ 뜻도끼를 갈아 바늘을 만든다는 말로,→ 아무리 어려운 일이라도 끈기 있게 노력하면 반드시 이루어진다는 의미입니다.→ 포기하지 않는 인내와 끈기를 강조하는 고사성어입니다. ✅ 한자

jung-suk.tistory.com

 

 

청출어람(靑出於藍) 청어람 뜻 유래 사용예시 유사어

✅ 뜻쪽에서 뽑은 푸른색이 쪽보다 더 푸르다는 의미로,→ 제자가 스승보다 뛰어나거나, 후배가 선배보다 더 나은 경우를 비유하는 말입니다. ✅ 한자 구성靑(푸를 청)出(날 출)於(어조사 어)藍(

jung-suk.tistory.com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