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반응형

올바른 표현은 ‘걱정돼서’ 입니다.

 


🔹 1. 왜 '걱정돼서'가 맞을까?

  • '걱정되서'는 ❌ 틀린 표현입니다.
  • '걱정돼서'는 동사 '되다'의 활용형으로,
    ‘되다 + -아서/어서’ → ‘되어서’ → ‘돼서’로 줄여 쓰는 것이 맞습니다.

즉,


✔️ 걱정되다 + -아서 → 걱정되어서 → 걱정돼서 (O)
걱정되서 (X)


🔹 2. ‘~되서’ vs ‘~돼서’ 차이점

~돼서 **‘되다 + -아서/어서’**의 준말 일이 잘 돼서 기쁘다.
~되서 틀린 표현‘되서’라는 형태는 없음 ❌ 일이 잘 되서 기쁘다.
  • '돼서'는 반드시 '되다'에서 파생된 경우에만 사용합니다.
  • ‘되서’라는 표현은 국어 문법상 존재하지 않는 잘못된 표기입니다.

🔹 3. 대표 예시

올바른 표현  틀린 표현
일이 잘 돼서 일이 잘 되서
걱정이 돼서 걱정이 되서
그렇게 돼서 그렇게 되서

🔹 4. 암기 팁

  • ‘되다’가 들어가면 무조건 "돼~"로!
  • '돼' = '되어'의 줄임말
  • '되서'는 아예 쓰지 않는다고 기억하세요.

🔹 5. 정리

걱정돼서 ✔️ 맞는 표현‘걱정되다’의 활용형
걱정되서 ❌ 틀린 표현문법적으로 존재하지 않음

 

앞으로 ‘되다’ 관련 표현이 나올 때는 꼭 ‘돼’로 줄여 쓰는지 확인해 주세요!

https://jung-suk.tistory.com/1340

 

가당치 않다 뜻과 상세 설명

🔹 가당치 않다뜻 :이치나 상황에 전혀 맞지 않아 말도 안 되는 경우를 표현하는 말입니다.쉽게 말해, 도저히 말이 안 되고 어울리지 않는 일이나 말에 대해 비판하거나 부정할 때 사용합니다.

jung-suk.tistory.com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