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국어 역사 수행평가

지그시 지긋이 차이

교육전문가집단 2025. 4. 25. 09:24
반응형

두 단어는 비슷하게 들리지만, 뜻과 쓰임이 완전히 다릅니다.
상황에 따라 정확하게 구분해서 써야 해요.

 


1. 지그시

  • 슬며시 힘을 주는 모양
  • 또는 참거나 누르는 모습을 나타내는 부사입니다.
  • 주로 감정이나 행동을 부드럽고 조용하게 누르거나 참는 상황에서 사용됩니다.

예시

  • 그는 입술을 지그시 깨물었다.
  • 아픔을 지그시 참았다.
  • 눈을 지그시 감았다.

포인트

  • 조용히, 살짝 힘을 주어
  • 감정, 행동을 눌러 참는 느낌

2. 지긋이

  • 나이가 꽤 들어 점잖고 무게 있게 또는
  • 참고 견디는 모양을 나타내는 부사입니다.
  • 또는 오래 참을성 있게라는 의미로도 쓰입니다.

예시

  • 지긋이 나이든 어르신.
  • 아버지는 화를 내지 않고 지긋이 참으셨다.
  • 지긋이 눌러서 붙이세요.

포인트

  • 나이가 많고 점잖은 모습
  • 참을성 있게 천천히, 오래

쉽게 정리

구분  지그시  지긋이
의미 슬며시 힘을 주거나 참는 모습 점잖고 무게 있게, 오래 참고 견디는 모습
키워드 살짝, 부드럽게, 조용히 참을성 있게, 천천히, 나이 든
예시 눈을 지그시 감다 지긋이 참고 기다리다
  입술을 지그시 깨물다 지긋이 눌러 붙이다

예문으로 비교

  • 그는 아픈 발을 지그시 눌렀다.
    (살짝 힘을 주어 누르는 모습)
  • 어머니는 화가 났지만 지긋이 참았다.
    (오래 참고 견디는 모습)

헷갈릴 때는


➡️ ‘살짝 힘을 준다’면 지그시
➡️ ‘오래 참는다 / 점잖다’면 지긋이

 

이렇게 기억하면 좋아요!

 

https://jung-suk.tistory.com/1364

 

회까닥 해까닥 맞춤법

정답 : 회까닥'회까닥'이 맞는 표현이고, '해까닥'은 잘못된 표기입니다. 1. 회까닥뜻갑자기 정신이 아찔해지거나,순간적으로 이상한 생각이 들어 정신 상태가 이상해지는 모습을 표현하는 의성

jung-suk.tistory.com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