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반응형

좋은 질문입니다. ‘어머니’와 ‘어머님’은 비슷해 보이지만,
호칭과 지칭의 구분, 그리고 높임 표현 여부에 따라 적절히 구분해서 써야 합니다.
아래에 정확하게 정리해 드릴게요.

 


✅ ‘어머니’ vs ‘어머님’ 차이

구분 어머니 어머님
기본 성격 기본형 (표준어) 높임 표현 (‘-님’ 접사 첨가)
높임 정도 일반적 / 평이한 표현 존칭, 상대나 제3자의 어머니를 높여 부름
사용 대상 자기 어머니, 가까운 관계에서는 보통 ‘어머니’ 남의 어머니, 시어머니, 격식 차릴 때 사용
용법 구분 지칭(말할 때) 주로 사용 호칭(부를 때) 또는 높여 말할 때 사용

📌 예문 비교

✅ ‘어머니’ (기본형)

  • 우리 어머니는 요리를 잘하신다.
  • 저는 어릴 때부터 어머니 손에서 자랐어요.
  • 어머니께서 오늘 시장에 가셨어요.

✅ ‘어머님’ (존칭, 높임)

  • 어머님, 안녕하세요? (호칭)
  • 친구의 어머님께 인사드렸다. (높임 지칭)
  • 시어머님 생신이라 선물을 준비했다.

✅ 요약 정리

자기 부모를 말할 때 어머니 기본형이자 자연스러운 표현
남의 부모를 말할 때 어머님 존칭 필요 → 높여 부름
직접 부를 때 어머님 높임 호칭으로 적절
시어머니, 장모님 등 어머님 예우와 높임이 필요한 대상

💡 참고: 높임말 구분 예시

기본형 기본형 높임 표현
어머니 어머님
아버지 아버님
형님
누나 누님
선생 선생님

 

 

 

못하다, 못 하다 띄어쓰기

‘못하다’와 ‘못 하다’는 모두 맞는 표현이지만,의미와 문법적인 용도에 따라 붙여 쓸지 띄어 쓸지가 달라집니다.아래에 명확하게 정리해 드릴게요. ✅ ‘못하다’ vs ‘못 하다’ 띄어쓰기

jung-suk.tistory.com

 

 

쫓다 좇다 차이

좋은 질문입니다. ‘쫓다’와 ‘좇다’는 발음이 같지만, 의미와 쓰임이 완전히 다릅니다.아래에 명확하게 비교해 드릴게요. ✅ 쫓다 vs 좇다 차이구분쫓다좇다뜻뒤를 따라가다, 몰아내다이상·

jung-suk.tistory.com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