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반응형

많은 사람들이 "새침데기", "새침떼기", "세침떼기" 중에 헷갈려 하는데, 올바른 맞춤법과 뜻을 정확히 알고 쓰는 게 좋아요.

 


🔹 ✅ 새침데기 (✔ 올바른 표기)

  • : 일부러 시치미를 떼며 얌전한 척하거나 새침한 태도를 보이는 사람
  • 보통 여성스럽고 도도한 느낌을 줄 때 자주 사용돼요.
  • 다소 장난스럽거나 귀엽게 비꼬는 말투일 때 많아요.
  • 예문:
    • "쟤는 참 새침데기 같아."
    • "그 새침데기 표정이 귀엽네."
  • ▶ 구성:
    • 새침하다 (시치미 떼며 얌전한 척하다)
    • -데기 (사람을 낮춰 이르는 접미사)

🔸 ❌ 새침떼기 / 세침떼기 (❌ 틀린 표기)

  • 모두 잘못된 맞춤법입니다.
  • 사람들이 발음을 헷갈리거나 잘못 옮겨 적은 형태예요.
  • ✔ 올바른 표기는 무조건 "새침데기"입니다.

✅ 요약 정리

새침데기 새침한 태도의 사람 (시치미 + 얌전함)
새침떼기 잘못된 표기
세침떼기 잘못된 표기

https://jung-suk.tistory.com/1344

 

계시다, 있으시다 문법적 차이점

한국어에서 "계시다"와 "있으시다"는 모두 존댓말로 쓰이지만, 문법적으로는 차이가 있습니다.정확히 구분해서 써야 자연스럽고 공손한 표현이 돼요. 🔹 계시다뜻: 동사 "있다"의 높임말 (존댓

jung-suk.tistory.com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