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목차
1. 대한민국의 성장
2. '대한민국' 국호의 유래와 의미
3. 'KOREA'의 유래와 의미
1. 대한민국의 성장
대한민국(大韓民國: Republic of Korea)은 동아시아의 한반도 남부에 자리한 공화국이다.
서쪽으로는 황해를 사이에 두고 중화인민공화국이, 동쪽으로는 동해를 사이에 두고 일본이, 북쪽으로는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과 맞닿아 있다
대한민국의 건국이념은 홍익인간(弘盆人間)이다.
수도는 서울특별시이다.
6.25 한국전쟁 이래 일명 ‘한강의 기적'이라고 불리는 높은 경제 발전을 이룩하여 1990년대에 이르러 세계적인 선진국으로 발전하였다.
2014년 기준 1인당 국민총소득(GDP)은 2만 8,101달러로 세계은행에서 고소득 국가로 분류되고, 2014년 국제연합(UN)의 인간개발지수(HDI) 조사에서 세계 15위로 매우 높음으로 분류되었다.
국제통화기금(IMF)에서는 대한민국을 선진 경제국으로 분류하고 있다.
대한민국의 2015년 명목 국내총생산(GNP)은 1조 4350억 달러로 세계 11위 규모이다.
대한민국은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개발원조위원회(DAC)의 회원국이기도 하다.
2. '대한민국' 국호의 유래와 의미
대한민국이란 국호의 대한(大韓)은 고대 한반도 남부 일대에 존재했던 나라의 이름인 한(韓)에서 유래한다.
마한. 진한. 변한을 합쳐 삼한이라고 불렀으며, 고구려. 백제. 신라를 합쳐 삼국 또는 삼한이라 부르기도 하였다.
그때 한이라는 의미는 종교상 의미와 정치상 의미가 복합적으로 이루어진 고대부터 내려오던 말이다.
이후 근대 국가의 국호로서 대한은 1897년 조선 왕조의 왕 고종이 대한제국을 선포하면서 다시 선택한 것으로, 그때 고종은 새 국호를 정한 이유를 다음과 같이 밝혔다.
"나라는 옛 나라이나 천명을 새로 받았으니 이제 이름을 새로 정하는 것이 합당하다. 삼대(三代) 이래로 황제의 나라에서 이전의 나라 이름을 그대로 쓴 적이 없다. 조선은 기자가 봉해졌을 때의 이름이니 당당한 제국의 이름으로 합당하지 않다.
대한이란 이름을 살펴보면 황제의 정통을 이은 나라에서 이런 이름을 쓴 적이 없다. 한(韓)이란 이름은 우리의 고유한 나라 이름이며, 우리나라는 고구려. 백제. 신라 등 원래의 삼한을 아우른 것이니 '큰 한'이라는 이름이 적합하다.”
여기에 민국을 더한 ‘대한민국'이라는 국호는 1919년 3.1 독립운동 직후에 만든 대한민국 임시정부에서 정한 것이다.
1919년 4월 10일 대한민국 임시정부를 수립하고자 중국 상하이에서 소집된 임시 의정원에서 신석우가 먼저 ‘대한'을 제시하였다.
그러자 여운형은 "대한은 조선왕조 말기에 잠깐 쓰다 망한 이름이니 부활할 필요가 없다."라고 반대하였다.
이에 신석우가 "대한으로 망했으니 대한으로 흥하자"며 대한제국의 제국을 공화국을 뜻하는 ‘민국'으로 바꾸어 대한민국을 국호로 다시 제안하였다.
이를 다수가 공감하면서 받아들임에 따라 ‘대한민국'이 독립 국가의 국호로 정해졌다.
광복 후 1948년 제헌국회에서 대한민국 국호를 계승하여 헌법에 명시하였고, 다시 1950년 1월 16일 국무원 고시 제7호 '국호 및 일부 지방명과 지도에 관한 건'에 의해 확정하였다.
이에 따라 대한민국 국민은 우리나라 공식 국호를 ‘대한민국'으로 하고 이를 줄여서 ‘한국', ‘대한'등으로 부르며, 우리나라를 호칭할 때는 흔히 ‘우리나라'라고 한다.
3. 'KOREA' 의 유래와 의미
한반도 북부에 자리한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과 대비해 한반도 남부에 있다 하여 남한'으로 부르고 북을 ‘북한'이라고 말한다.
대한민국은 영어로 'Korea' (코리아)라고 부른다. Korea는 한반도에 있던 왕국인 고려에서 유래하였다.
당시 아라비아 상인들이 고려의 수도인 걔성으로 통하는 벽란도를 이용해 무역을 하면서, '코리아'라고 부른 것을 영어로 표기하여 'Korea'로 사용하여 전 세계에 전해지게 되었다.
고려라는 이름은 고구려 장수왕이 한때 '고구려'를 '고려'라고 불렀던 이름이며, 고려 태조 왕건이 고구려를 계승하고자 국호를 고려로 정했으므로, 결국 Korea라는 말의 어원은 고구려에서 유래한 것이라고 할 수 있다.
대한민국의 공식 영어 명칭은 'Republic of Korea'로서 약칭하여 'R.O.K.'로 사용하는 때가 있다.
현대사 다른 글들
2. [대한민국, KOREA] 국호 명칭의 유래와 의미 (현대사)
3. 4.19 혁명부터 5.16 군사정변까지, 그리고 산업화의 열정 (현대사)
4. 대한민국 역대 정부, 제1공화국~제5공화국까지 (현대사)
5. 제 6 공화국 (노태우, 김영삼, 김대중, 노무현, 이명박 정부) (현대사)
'역사 수행평가용' 카테고리의 다른 글
(근현대사) 1. 일제 강점기 1910년대 (1910년~1919년) (0) | 2023.12.16 |
---|---|
5. 제 6 공화국 (노태우, 김영삼, 김대중, 노무현, 이명박 정부) (현대사) (0) | 2023.12.15 |
4. 대한민국 역대 정부, 제1공화국~제5공화국까지 (현대사) (0) | 2023.12.15 |
3. 4.19 혁명부터 5.16 군사정변까지, 그리고 산업화의 열정 (현대사) (0) | 2023.12.15 |
1. 대한민국 정부 수립과 한국 전쟁 (현대사) (0) | 2023.12.15 |
- Total
- Today
- Yesterday
- 고난도문제
- 영어독해
- 고령화사회
- 중간고사대비
- 내신수학
- 수학문제풀이
- 기출문제
- 법률상담
- 공통수학1
- 수학문제집
- 노인돌봄
- 내신콘서트답지
- 티스토리챌린지
- 상가임대차
- 100발100중
- 교통사고
- 내신대비
- 법률 상담
- 수능대비
- 임대차계약
- 사망보험금
- 국가자격증
- 건강관리
- 임대차분쟁
- 영어공부법
- 사이버대학교
- 자기주도학습
- 내신 대비
- 서술형대비
- 오블완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