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목차
1. 고구려의 한자와 한문학
2. 고구려의 건축 미술
3. 고구려 문화의 일본 전파
1. 고구려의 한자와 한문학
한자와 한문학은 삼국 중에서 가장 빠르게 받아들였다.
소수림왕 2년 국가에서 유학의 교육기관으로 태학을 세워서 관리 양성을 위한 교육 기관으로 삼았다.
민간에서는 각처에 경당을 세워 미혼의 자제들에게 독서와 궁술을 익히게 하였다. 유교의 경전, 사기, 한서 등의 사서를 익혔다. 옥편. 자통 같은 사전이 유포되었고, 중국의 문선 같은 문학서도 들어와 많이 읽었다.
한자 사용을 장려하여 사서 편찬도 일찍부터 행하여졌다. <유기> 100권을 편찬하고, <신집> 5권도 편찬하였다. 시가로는 유리왕이 지은 <황조가>와 정법사의 <영고석>, 을지문덕 장군이 수나라 장수 우중문에게 준 <여수장 우중문시>, <연양가> 등이 전한다.
2. 고구려의 건축 미술
고구려는 건축 미술에서는 찬란한 문화를 이룩했다.
대부분의 유적들이 통거우와 평양 지방에 집중되어 있다. 대궁, 사찰 등 건축물로서 현재 남아 있는 것은 없으나 고분의 구조를 통하여 당시의 귀족 계급의 호화로운 건축을 짐작할 수 있다.
고분으로는 석총과 토총이 있다. 돌을 피라미드 식으로 쌓아 올린 장군총은 통거우 지방에 남아 있는 고구려 석총의 대표적 유적이다. 평양 부근의 쌍영총은 돌로 만든 대표적 무덤이다. 이와 같은 석실의 구조와 벽화에 의해서 고구려인의 건축술과 미술의 기량을 엿볼 수 있다.
투팔천정, 천정 그림의 장식은 고구려의 건축 양식을 보여주는 것이다. 수렵총, 각저총, 수산리 고분, 안악 3호분의 고분 벽화는 건축 미술로 높이 평가되고 있다.
고분 벽화로는 고구려 사람들의 신앙. 사상이나 풍속. 의복 등을 설명해 주는 귀중한 자료이다.
쌍영총의 인물화나 무용총 무인, 가인의 그림, 청룡 백호 등을 그린 강서대묘의 사신도 (東청룡 西백호 南주작 北현무)는 섬세하고 화려한 필치로 강건한 고구려인의 기질을 잘 나타낸 걸작으로 평가받는다. 고구려 사람들은 가무를 즐겼던 것으로 알려져 있으나 문헌적 고증은 찾아볼 수 없다.
제24대 양원왕 때의 국상인 왕산악이 진나라 칠현금을 개량하여 거문고를 만들어, 100여 곡의 악곡을 지었다고 전한다.
3. 고구려 문화의 일본 전파
고구려 문화는 일본에 많은 영향을 미쳤다. 고구려의 화공, 스님 등이 일본으로 건너가서 불교 문화를 전하는 데 공헌하였다.
고구려의 승려인 혜자는 쇼토쿠 태자의 스승이 되었다. 승려이자 화가인 담징은 일본에 종이와 먹의 제조 방법을 전파하고, 일본 호류사에 금당벽화를 그려준 것이 대표적인 일례이다.
[고대사 링크 목록]
2. 고조선, 단군설화, 위만조선, 한사군, 부족국가시대
3. 고구려의 건국과 전성기, 고주몽의 건국 신화, 유리왕과 황조가
4. 낙랑과 호동 (자명고), 광개토대왕과 장수왕, 불교의 전래
5. 살수대첩과 을지문덕, 양만춘의 안시성 전투, 연개소문의 천리장성
7. 백제의 건국~멸망, 계백의 황산벌 전투, 의자왕과 낙화암의 전설
8. 백제의 무령왕릉, 사비성고분, 부흥운동, 중국,일본과의 교역, 건축과 미술
9. '신라' 국호의 유래, 삼국사기로 본 시대 구분, 성골과 진골의 차이
10. 신라의 영토확장, 화랑도와 세속오계, 선덕여왕의 일화, 백결의 방아타령
11. 신라의 통일, 왕권 강화와 흥망성쇠 과정, 불교 유적(불국사, 석굴왕), 최치원의 등장
12. 후삼국시대 양길의 봉기, 견훤의 후백제, 궁예의 후고구려
13. 해동성국 발해의 건국에서 멸망까지의 220년 간의 과정
'역사 수행평가용'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고대사) 8. 백제의 무령왕릉, 사비성고분, 부흥운동, 중국,일본과의 교역, 건축과 미술 (0) | 2023.12.17 |
---|---|
(고대사) 7. 백제의 건국~멸망, 계백의 황산벌 전투, 의자왕과 낙화암의 전설 (0) | 2023.12.17 |
(고대사) 5. 살수대첩과 을지문덕, 양만춘의 안시성 전투, 연개소문의 천리장성 (0) | 2023.12.17 |
(고대사) 4. 낙랑과 호동 (자명고), 광개토대왕과 장수왕, 불교의 전래 (0) | 2023.12.16 |
(고대사) 3. 고구려의 건국과 전성기, 고주몽의 건국 신화, 유리왕과 황조가 (0) | 2023.12.16 |
- Total
- Today
- Yesterday
- 사망보험금
- 교통사고
- 법률상담
- 고령화사회
- 수학문제집
- 국가자격증
- 내신수학
- 기출문제
- 내신 대비
- 중간고사대비
- 고난도문제
- 영어독해
- 상가임대차
- 수학문제풀이
- 공통수학1
- 100발100중
- 건강관리
- 자기주도학습
- 법률 상담
- 내신대비
- 임대차계약
- 영어공부법
- 티스토리챌린지
- 서술형대비
- 임대차분쟁
- 수능대비
- 노인돌봄
- 내신콘서트답지
- 오블완
- 사이버대학교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