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반응형

목차

 

1. 신라의 영토 확장, 가야의 멸망

2. 화랑도와 세속오계

3. 선덕여왕의 지혜

4. 백결의 방아타령

 

 

 

1. 신라의 영토 확장, 가야의 멸망

 

제24대 진흥왕 때에 활발한 정복 활동을 전개하면서 삼국 간의 다툼이 심해졌다. 백제와 나. 제 동맹을 맺고 한강 상류 유역을 공격하여 영토를 확장하였다.

 

신라는 고구려의 지배 아래에 있던 한강 유역을 빼앗고 함경도 지역으로까지 진출하였으며, 남쪽으로는 대가야를 정복하여 낙동강 서쪽을 장악하였다.

 

진흥왕은 백제를 억누르고 고구려의 남진 세력을 막았다. 인천항에서 수.당나라와 직접 연맹 관계를 맺었다. 신라 국세는 <진흥왕 순수비>로 국경을 확장하였다.

 

경남 창녕비. 한양 북한산비. 함흥 황초령비. 함남 마운령비 등이 그것이다. 이로써 신라가 삼국 경쟁의 주도권을 장악하게 되는 계기가 마련되었다.

 

가야는 한반도 남부에 있던 부족 국가의 연맹체이다. 2-3세기 경에 김해 등지에 있던 금관가야를 중심으로 대가야, 성산가야, 아라가야, 고령가야, 소가야의 5개국이 합쳐져 전기 가야 연맹을 이루었다. 

 

고구려의 공격으로 금관가야가 큰 피해를 입자 5-6세기경 피해를 거의 입지 않은 대가야를 중심으로 후기 가야 연맹이 생겼다. 

 

가야 연맹도 신라와 백제 틈에서 위협을 받다가 532년 금관가야 등이 신라에 투항하였고, 대가야는 562년에 항복하여 멸망했다.

 

5세기 초 백제와 동맹을 맺어 고구려의 간섭을 배제하고자 하였다. 5세기 말 신라는 6촌을 6부의 행정 구역으로 개편하면서 발전하였다.

 

지증왕 때에 수도와 지방 행정 구역을 정리하였고, 우산국(울릉도)을 복종시켜 다스렸다.

 

법흥왕은 명부를 설치하여 군제를 개혁하고, 율령 반포, 공복 제정 등을 통하여 통치 질서를 확립하였고, 골품 제도를 정비하였으며, 불교를 공인하였다. 왕권을 강화하고  건원이라는 연호를 사용함으로써 자주 국가로서의 위상을 높이고, 김해 지역의 금관가야를 정복하여 영토를 확장하면서 신라는 중앙 집권 국가 체제를 완비하였다. 백제와는 연맹 관계를 맺어 백제를 통하여 양(梁) 나라와 교역하였다.

 

 

 

2. 화랑도와 세속오계

 

진흥왕은 국가 발전을 위한 인재를 양성하기 위하여 화랑도를 국가적인 조직으로 개편하고, 불교 교단을 정비하여 사상적 통합을 도모하였다.

 

신라 청소년들은 화랑 활동을 통하여 전통적 사회규범을 배우고 여러 계층이 같은 조직 속에서 일체감을 갖도록 하여 계층 간의 대립과 갈등을 완화하는 구실을 하였다. 화랑도는 유명한 산과 대천을 찾아 다니며 제천의식을 행하고 사냥과 전쟁에 관하여 교육을 받음으로써 협동과 단결 정신을 기르고 몸과 마음을 연마하였다.

 

화랑은 신라가 정복 활동을 강화하던 진흥왕 때에 국가 차원에서 그 활동을 장려하여  조직이 확대되었다. 화랑도는 세속오계를 근간으로 활동하였다. 이는 신라 제24대

진흥왕 때에 승려 원광이 화랑에게 일러 준 다섯 가지 계율로, 화랑도는 이를 바탕으로 삼국 통일에 이바지하였다.

 

<세속오계>

 

사군이충(事君以忠) - 임금을 충성으로섬기고

사친이효(事親以孝) - 어버이를 효도로써 섬기며

교우이신(交友以信) - 벗을 믿음으로써 사귄다.

임전무퇴 (臨戰無退) - 싸움에 임해 절대 물러나지 않고

살생유택(殺生有擇) - 함부로 살생을 하지 않는다.

 

 

 

3. 선덕여왕의 지혜

 

선덕여왕이 덕만공주로 있을 소녀시절의 이야기이다.

아버지가 신라 제26대 진평왕으로 등극하자, 당나라 태종이 붉은빛, 보랏빛, 흰빛의 모란꽃을 그린 그림과 씨앗 3되를 축하 선물로 보내왔다.

 

신라 궁궐에서 모두가 기뻐하는데 덕만공주는 그렇지 않았다. 신하들이 궁금하게 여기며 그 까닭을 물었더니, 모란꽃 그림을 보고 "아! 이 꽃에는 향기가 없다."라고 말했다. 신하들은 그 꽃씨를 궁궐의 뜰에 심었다. 이상하게도 그 꽃이 피어서 지기까지 향기를 드러내지 않았다.

 

선덕여왕은 그 뒤 신라 제27대 여왕으로 등극하여 우리나라 최초의 여왕이 된 인물이다. 여왕이 된 뒤에 신하들이 모란꽃 그림의 예언을 두고 어떻게 그런 사실을 알 수 있었는지에 대해 물어보았다.

 

그때 선덕여왕은 "모란꽃을 그린 그림에 나비와 벌이 없는 것으로 보아 그 꽃의 향기가 없음을 알았다."라고 설명했다.

 

그리고 선덕여왕은 이렇게 덧붙였다. 

"그것은 곧 당나라의 임금이 현재 내가 여자로서 짝이 없이 독신으로 지내는 걸 풍자한 것이다." 이 설명을 듣고 뭇 신하들은 모두 그 예지에 감복했다.

 

 

 

4. 백결의 방아타령

 

백결 선생은 신라 제20대 자비왕 때의 거문고 명인이었다. 경주 남산 기슭에 살았는데, 집안이 매우 가난했고, 옷을 백 번씩 기워 입어 너덜너덜하였다고 전한다. 이에 사람들이 동네의 백결 선생이라고 불렀다.

 

일찍이 영계기(중국 노나라 시절 은자)의 됨됨이를 존경해서 거문고를 추구하며 즐거움, 노여움, 슬픔, 기쁨, 불평을 모두 거문고로 표현했다. 어느 해에 동네 이웃들이 곡

식을 방아질 하자 그 아내가 절구 소리를 듣고 말하였다.

 

"남들은 방아를 찧어 설맞이를 하는데 홀로 우리만 없으니, 어찌 해를 넘길꼬?"

백결 선생이 하늘을 우러러 탄식하며 대답하였다.

 

"죽고 사는 것은 운명에 달린 것이요, 부유하고 가난한 것은 하늘에 달린 것이니, 오는 것을 막을 수 없고 가는 것을 쫓을 수 없는 법이라. 너는 어찌 슬퍼하는가. 내 너를 위하여 방아소리를 만들어 위로하리다."

하고는 거문고를 뜯어 방아소리를 내었다. 그것이 세상에 전해져서 <대악>이라고 한다.

 

 

 

[고대사 링크 목록]

 

1. 한반도에서 고조선 이전의 역사 (상고시대)

2. 고조선, 단군설화, 위만조선, 한사군, 부족국가시대

3. 고구려의 건국과 전성기, 고주몽의 건국 신화, 유리왕과 황조가

4. 낙랑과 호동 (자명고), 광개토대왕과 장수왕, 불교의 전래

5. 살수대첩과 을지문덕, 양만춘의 안시성 전투, 연개소문의 천리장성

6. 강인한 이미지를 보여주는 고구려의 문화와 예술

7. 백제의 건국~멸망, 계백의 황산벌 전투, 의자왕과 낙화암의 전설

8. 백제의 무령왕릉, 사비성고분, 부흥운동, 중국,일본과의 교역, 건축과 미술

9. '신라' 국호의 유래, 삼국사기로 본 시대 구분, 성골과 진골의 차이

10. 신라의 영토확장, 화랑도와 세속오계, 선덕여왕의 일화, 백결의 방아타령

11. 신라의 통일, 왕권 강화와 흥망성쇠 과정, 불교 유적(불국사, 석굴왕), 최치원의 등장

12. 후삼국시대 양길의 봉기, 견훤의 후백제, 궁예의 후고구려

13. 해동성국 발해의 건국에서 멸망까지의 220년 간의 과정

 

 

반응형
반응형
공지사항
최근에 올라온 글
최근에 달린 댓글
Total
Today
Yesterday
링크
«   2025/02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글 보관함